데이터분석

[23.05.31] Python 설치 및 입출력 - 01

gmwoo 2023. 5. 31. 16:42

""다시 처음부터 한단 마인드로 6개월 수련 시작""

 1. Anaconda 설치 

 2. Visual Studio Code 설치

3. Python 입출력 예제 

4. 책: 혼자 공부하는 파이썬(개정판) - 윤인성 지음(한빛미디어)

 


 

1) 변수

 

a = 10 # 주석 - 설명문, 번역기가 #기호 잏로는 무시
       # 컴퓨터의 어딘가를 a라는 이름을 두고 값을 할당
print(a)

 

2) 입력

a = input("a = ")
b = input("b = ")

# input은 문자열로 받음

c = a + b
print(c)

d = int(a) + int(b)
print(d)
x = int(input("x = "))
y = int(input("y = "))

# fstring 방식
print(f"{x} + {y} = {x+y}")
print(f"{x} - {y} = {x-y}")
print(f"{x} * {y} = {x*y}")
print(f"{x} / {y} = {x/y}")
print(f"{x} % {y} = {x%y}")

 

3) 예제

# 사각형 면적
width = input("가로: ")
height = input("세로: ")
surface = int(width) * int(height)

print("면적은", surface, "입니다")
# 문제

# 이름, 국어, 영어, 수학 입력 받아 총점과 평균 출력

Name = input("이름: ")
Korean = int(input("국어: "))
English = int(input("영어: "))
Math = int(input("수학: "))
Sum = Korean + English + Math

print(f"{Name}의 총점은 {Sum}이고 평균은 {Sum/3}입니다.")
# 문제: 주급 계산하기, 근무시간(30), 시간당급여액(15000)

# Time = input("근무시간: ")
# money = input("시간당급여액: ")
# total = int(Time) * int(money)
# print("주급: ", total)

time, money = map(int, input('근무시간, 시간당급여액: ').split())
total = time * money
print("주급: ", total)
print("주급: " + str(total)) # , 대신 + 를 사용 가능
print(str.format("주급: %d " % total)) # 문자열과 숫자를 섞어서 출력할 때, 웹프로그램 또는 db에 데이터 읽고 쓸 때 많이 씀
print(f"주급은 {total}") # fstring 3.6부터 문자열 앞에 f를 씀, 대세

 

4) 문제

# 미터를 입력받아 km와 m 구하기
# 입력 예) 미터: 1234
# 출력 예) 1234m는 1km와 234m 입니다.

met = int(input("미터: "))
kilo_met = met // 1000
change_met = met & 1000
print(f"{met}m는 {kilo_met}km {change_met}m 입니다.")
# 문제2. 섭씨온도를 입력받아 화씨 온도 구하기

deg = int(input("섭씨온도: "))
change_deg = (deg * 9/5 + 32)
print(f"화씨온도로 변환: {change_deg}")
# 식당에 다섯명이 가서 다음과 같은 주문을 하였다. 총 지불액은 얼마인가?
# 다섯명이 같은 금액을 나누어서 지불한다고 할 때, 한 명 당 지불 금액은?
# 주문 내용_ 김치찌개: 8000, 된장찌개: 7000, 제육볶음: 10000
# 입력방식 김치찌개? 2
#          된장찌개? 1
#          제육볶음? 2
# 출력: 8000*2 + 7000 + 2*10000 = 43000
# 나눔: 43000/5 = 8600

a = int(input("김치찌개? "))
b = int(input("된장찌개? "))
c = int(input("제육볶음? "))

m1 = 8000
m2 = 7000
m3 = 10000

total = a*m1 + b*m2 + c*m3
cnt = a + b + c

print(f"총액은 {total} 이고, 각자 금액은 {total/cnt}입니다.")
# 동전 거스르기
# 거스름돈: 78760
#   50000원     1장
#   10000원     2장
#   5000원      1장
#   1000원      3장
#   500원       1개
#   100원       2개
#   50원        1개
#   10원        1개

money = int(input("처음 돈: "))
m_50000 = money // 50000
cnt_50000 = money % 50000
print(f"50000원: {m_50000}장")

m_10000 = cnt_50000 // 10000
cnt_10000 = cnt_50000 % 10000
print(f"50000원: {m_10000}장")

m_5000 = cnt_10000 // 5000
cnt_5000 = cnt_10000 % 5000
print(f"10000원: {m_5000}장")

m_1000 = cnt_5000 // 1000
cnt_1000 = cnt_5000 % 1000
print(f"5000원: {m_1000}장")

m_500 = cnt_1000 // 500
cnt_500 = cnt_1000 % 500
print(f"1000원: {m_500}장")

m_100 = cnt_500 // 100
cnt_100 = cnt_500 % 100
print(f"100원: {m_100}개")

m_50 = cnt_100 // 50
cnt_50 = cnt_100 % 50
print(f"50원: {m_50}개")

m_10 = cnt_50 // 10
cnt_10 = cnt_50 % 10
print(f"10원: {m_10}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