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대학원 수업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논문 쓰는 요령
1. Use "verbs" rather than "adjectives"
논문은 문학이 아니라 연구를 바탕으로 한 확실한 사실을 작성하는 것이다.
"XXX 기법은 매우 성능이 좋다/나쁘다" 대신 "XXX 기법이 YYY한 기법보다 OO% 향상 됨을 확인하였다."
2. Write the main point(conclusion) in front
두괄식. 대부분 전 세계 사람들이 보는 논문이기 때문에 영어의 어순에 맞게 작성해야 한다.
또한 해당 결론에 대해 육하원칙에 의거한 정보와 세부 사실에 바탕이 되는 관련 연구 등을 명시하면 된다.
3. Avoid passive voices
이 부분은 연구자들마다 다른 의견이지만, 되도록이면 능동태를 사용해야 한다.
영어의 어순은 "주어+동사"가 오는데 보통 논문에서 주어는 저자가 강조해야 할 부분이다.
수동태를 사용하면 본인이 강조 할 부분이 목적어로 들어가기 때문에 문장의 뜻이 흐려질 수 있고
독자도 혼동할 수 있다. 필히 수동태를 사용할 때도 있는데 보통 3~4문장 정도 논문에 들어가는 것이 적절하다.
4. Thesis is a report, not a review
논문은 연구 결과에 따른 리포트이다.
즉, "may / can"은 최대한 지양하는 것이 옳으며 기정 사실에 근거한 문장을 사용해야 한다.
가령 실험에서 확실한 범위(condition)을 명시한다면 "can"은 사용될 수 있는데,
"may" 같이 "~~ 일 것 같다" 등의 감상문 형식으로 작성하면 안된다.
또한 본인 연구에 기반이 되는 관련 연구에 대한 기법과 인용은 더더욱 확실히 명시해야 한다.
5. Be as uniform as possible
논문은 일반적으로 전 세계 '전문가'들이 보기 때문에 "어렵다"라는 것이 전제한다.
즉, 전문적이고 official한 문장을 써야하고 이를 위해 단어 또는 문맥을 통일하여 작성해야 한다.
예시) relay devices, passing nodes, nodes etc.. → relay nodes
6. Do not disparage or criticize the research of others
논문은 일반적으로 '요약 - 서론 - """관련 연구""" - 본론 - 실험 - 결론' 순이다.
리뷰 논문이 아닌 이상 기존의 연구가 바탕이 되어 본인 연구가 진행되기 때문에 논문 작성 시 관련 연구와 실험 결과를 작성한다.
이 때, 본인의 연구를 강조하기 위해 남의 연구를 비난해서는 안된다.
어떠한 논문이라도 가치가 있기 때문에 본인의 의견이 아닌 사실만 명시하여야 한다.
7. Make sure the comparison group
많은 사람들이 실수하는 부분이다. 서론에서의 간단한 문장이던 실험이던 비교군을 확실하게 해야 한다.
서론에서 "예전보다 기술이 발전하였다." 등의 문장은 쓸모없는 문장이지만 대다수 사람들이 이런 식으로 시작한다.
필자도 이렇게 썼다가 교수님께 지적 받은 적이 있다.
8. Build Castles in the Air
7번과 같은 맥락이다.
논문은 보통 출판사마다 정해져있는 쪽 수가 있다.
연구를 하다보면 굉장히 많은 양의 글을 쓸 수 있는데 이런 뜬구름 잡는 문장을 사용하는 것은
심사자 혹은 독자 입장에서는 양을 채우려는 목적이 가득해 보일 수 있다.
9. Don't use verbose expressions
앞서 말한 내용들을 아우르는 부분이다.
논문은 "실험 결과"가 전제되는 글이기 때문에 "Really, fantastic" 등의 표현을 최대한 지양하고
"oo% 향상을 보임" 등의 표현을 사용해야 한다.
10. There are no shortcuts in writing
이과를 졸업하고 공대인으로서 글쓰기는 무척 어렵다. (쉬었다면 대통령 했겠지..ㅎ)
때문에 글쓰기(그리고 발표 등)는 꾸준히 연습해야 한다. 서점에 가면 글쓰기 스킬에 관한 책이 많은 이유이다.
그리고 혼자서 글쓰기 연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 글을 컨펌해주고 지적해줄 누군가를 곁에 두는 것은 더 중요하다.
"학술논문작성법" 대학원 수업에서 논문의 대략적인 스킬을 배웠고,
이후 수업에서는 더 자세한 내용을 다루신다고 한다.
앞으로의 수업은 "논문"에 치중한 수업을 배우겠지만 이번 수업은 논문 뿐만 아니라 모든 글에 해당한다고 생각한다.
즉, 글의 목적을 명확히 이해하고 목적에 맞게 작성하려는 자세가 가장 중요하다.
'끄적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ekly 회고] - 04 (0) | 2023.06.26 |
---|---|
[Weekly 회고] - 03 (0) | 2023.06.18 |
[Weekly 회고] - 02 (0) | 2023.06.11 |
GNN(Graph Neural Network) (0) | 2022.03.17 |
Segment Routing(SR) (0) | 2022.02.17 |